토막상식(13)
-
집단에 관한 이론
The need to belong ->그룹이 그들의 심리적,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때문에 그들은 다른 사람들과 합류한다 소속되지 않을때 부정적으로 반응(ostrasism 배척)->무력, 우울 그룹활동에서 제외된 사람들이 특정영역에서 강화된 신체반응->그룹에 속하지 못하는것=육체적인 고통 집단은 소속의 욕구를 충족시킬뿐만아니라 정보제공 그룹은 모호할때 자신은 누구인지에 대한 답을 해줄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식은 우리의 자아의식이 무엇인지에 대한 개인적 정의 자아는 내가 아니라 우리 ->사회비교이론 ->자신의 가치를 지키기위해 하향비교를 한다. ->다른 사람들을 사회적 범주로 분류하는것이 자신을 사회적 범주중 어디에 속하는지 분류 ->강하게 동일시 할경우 집단의 전형적인 특징을 자신의 특징이라고 생각함 그..
2021.02.20 -
우울장애
우울: 기분이 처지고 슬픈상태, 인생이 어둡게 보이며 인생의 도전거리들이 압도적으로 보임. 정신, 행동, 인지, 신체에 있어서 영향을 미친다. 가. 정서: 우울한 정서, 무 쾌감증의 경향, 불안, 분노, 안절부절함 나. 동기: 일상활동의 동기x 다. 행동: 덜 활동적, 덜 생산적 라. 인지: 자신에 대한 극도로 부정적인 감정, 자살사고 마. 신체: 두통, 소화불량, 변비, 현기증, 피 (unipolar depression) 1. 우울로만 고통을 받음 2. 조증의 과거력이 없음 3. 우울이 끝나면 정상적으로 돌아온다 (bipolar disorder) 우울 기간과 조증기간이 번갈아 나타남 조증의 과거력 없이 주요우울삽화를 경험 (a). 계절성 동반: 우울이 계절과 함께 변함 (b) 긴장증: 움직이지 않거나 ..
2020.07.24 -
양극성 장애
양극성 장애: 우울이라는 최저치와 조증이라는 최고치를 모두 동시에 경 조증: 조증상태에 있어서 사람들의 기분은 극적이고 부적절하게 고양되는 것을 경험 정서, 동기, 행동, 인지, 신체에 있어서 우울과 반대로 작용한다. 1. 비정상적으로 들뜨거나 의기양양하거나 과민한 기분 그리고 지속적인 에너지와 활동의 증가가 적어도 일주일간, 거의 매일, 하루 중 대부분 지속됨 2. 다음증상 중 적어도 2가지 이상을 경험한다. (a). 자존심의 증가 또는 과대함 (b). 수면 욕구가 감소 (c). 말이 많아지거나 계속 말을 하려한다 (d). 사고의 비약, 또는 사고가 질주하듯이 빠른 속도로 이어진다 (e). 주의산만 (f). 활동의 증가, 정신운동 초조 (g). 위험하고 잠재적으로 문제가 될 일에 지나친 몰두 3. 심각..
2020.07.24 -
조현병이란?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 조현병 그 자체와 함께 dsm-5의 조현병 유사장애들의 집합을 일컫는다. 조현병: 조현병은 공통적으로 몇가지 특징을 공유하는 서로 다른 장애들의 집합이라고 믿는다. 조현병의 증상은 양성증상, 음성증상, 정신운동 증상으로 구분된다. 조현병 환자는 전형적으로 2가지 증상을 모두 보이지만 일부는 양성증상이 우세하고 일부는 음성증상이 우세하다. 양성증상, 음성증상, 정신운동 증상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양성증상: 병리적으로 과도하거나 괴상한 것이 그 사람의 행동에 덧붙여 지는 것이다. (a) 망상: 그 생각을 진심으로 믿지만 그 생각에 근거는 실제 적으로 없는 것으로 피해망상, 관계망상, 과대망상, 통제 망상 등이 있다. 가. 피해망상: 조현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나타나며 자신이 음모에..
2020.07.24 -
다양한 동물 연구
새로운 염색기술 ->특정 신경 전달 물질을 포함하고 사용하는 뉴런 발견 ->뇌와 다른 영역 사이의 경로와 연결을 관찰하여 뇌 연결의 로드맵을 도출 아비드 칼슨 ->토끼와 생쥐를 이용한 연구 ->파킨슨 병은 신경 전달 물질인 도파민이 고갈되어 있고 시냅스의 기능 사실을 레보도파(L- 도파)로서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 노밸상 수상 비둘기를 이용한 연구 ->도파민은 뇌의 운동기능에 관여하는 기저핵에 매우 집중되어 있는 것을 밝힘 ->파킨슨 병은 기저핵의 세포가 죽어 도파민 생산이 감소 ->뇌 세포에서 도파민으로 변화되는 레보도파(L-도파)를 통해 파킨슨 병 치료제 개발 쥐를 이용한 마약 연구 ->약물에 의해 영향을 받는 뇌의 부분은 보상경로, 특히 측위 신경핵(NA)와 북측피개영역(VTA)이 도파민 뉴런..
2020.06.15 -
수면의 과학
뇌파검사 EEG 독일 의사 한스 베르거에 의해 개발 인간의 인식 사고를 담당하는 뇌 외측 신피질에서 일어나는 전기적 활동을 미세한 수준에서 측정 뇌전위 기록, 저산소증 다 최초 발견 오늘날고밀도 eeg 장치는 뇌의 전기적 활동 지도 만듬 머리바깥에 전극을 붙임 느린 파 수면->근육과 눈의 이완, 심박수, 혈압,체온 하락 서파수면->렘수면 렘수면 단계에서 꿈을 많이 꿈(심박수, 혈압, 체온은 가변적) 첫번째 렘수면은 10~15분 수면중 대뇌피질의 서파(slow oscillation) 간뇌 시상의 수면방추파 해마의 swr(sharp wave ripple)이 동시 발생 동조를 이루면 장기 기억력의 향상 해마->대뇌피질 전두엽->장기기억 강화 시상하부: 항상성의 중추 시교차상 핵(SCN) 우리 몸의 생체시계를 ..
2020.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