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4)
-
다양한 동물 연구
새로운 염색기술 ->특정 신경 전달 물질을 포함하고 사용하는 뉴런 발견 ->뇌와 다른 영역 사이의 경로와 연결을 관찰하여 뇌 연결의 로드맵을 도출 아비드 칼슨 ->토끼와 생쥐를 이용한 연구 ->파킨슨 병은 신경 전달 물질인 도파민이 고갈되어 있고 시냅스의 기능 사실을 레보도파(L- 도파)로서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 노밸상 수상 비둘기를 이용한 연구 ->도파민은 뇌의 운동기능에 관여하는 기저핵에 매우 집중되어 있는 것을 밝힘 ->파킨슨 병은 기저핵의 세포가 죽어 도파민 생산이 감소 ->뇌 세포에서 도파민으로 변화되는 레보도파(L-도파)를 통해 파킨슨 병 치료제 개발 쥐를 이용한 마약 연구 ->약물에 의해 영향을 받는 뇌의 부분은 보상경로, 특히 측위 신경핵(NA)와 북측피개영역(VTA)이 도파민 뉴런..
2020.06.15 -
가짜뉴스에 선동당하지 않는 힘 <심리학>
안녕하세요 심플한 심블입니다. 오늘은 가짜뉴스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 하니다. 저희는 현제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하루에도 수많은 정보가 생산되고 이로 인해 예전보다 몇십배 몇백배나 되는 정보를 저희는 접합니다. 그렇기에 저희는 이러한 정보를 선동되지 않고 걸러내는 힘이 필요합니다. 이번 코로나 19사태를 보면서도 느꼈을것입니다. 이번 사태가 지속됨에 따라 수많은 가짜뉴스들이 생산되고 또한 수많은 혐오와 불신들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커뮤니티들을 돌아다니다 보면 이게 진짜일까 싶은 것도 버젓이 올라와있고 사람들을 그것들을 의심을 하면서도 아무렇지도 않게 믿고 있고 그것은 곧 사실로서 받아들여지게 됩니다. 굳이 이번 코로나 사태가 아니여도 우리는 이러한 현상들을 주변에서 아주 쉽게 찾아..
2020.03.09 -
트롤리 딜레마
안녕하세요. 심플한 심블입니다. 오늘은 좀 심오한 주제를 들고 나왔는데요. 오늘 알려드릴 심리학 상식은 바로 트롤리 딜레마 입니다. 최근 트롤리 딜레마가 자율주행 자동차 관련해서 많이 뉴스에 오르내리고 있는데 먼저 다루에 앞서서 트롤리 딜레마가 뭔지 알아야 겠죠? 트롤리 딜레마는 밑에 그림과 같은 상황에 대한 문제입니다. 한쪽 선로에는 5명이 묶여있고 다른 선로에는 1명이 묶여있는 상황에서 기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당신이 래버를 바꾸지 않으면 5명이 죽고 래버를 바꾸면 1명이 죽습니다. 과연 당신은 어느것을 선택하시겠습니까? 이 트롤리 딜레마 문제는 1970년대 부터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는데 많은 윤리학자들이 이에 대한 입장을 표명는데 각각의 대표적인 입장을 살펴보자면 래버를 당기지 말아야 한다 라..
2019.08.04 -
심리학 하면 프로이트?
심리학에 대해 모르는 사람도 심리학에 대해 물어보면 안다는 바로 그분.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이자 무의식에 대한 책인 꿈의 해석이란 책을 쓰신분이죠 오늘의 주제는 바로 프로이트 입니다. 자 그럼 심리학의 아버지는 프로이트 일까요??? 정답은 NO. 심리학의 아버지는 후에 다루겠지만 실험심리학을 창안한 빌헬름 분트라는 학자이고 프로이트의 이론은 현 심리학계에서 찬밥신세라는거 알고 계셨나요? 먼저 알아보기에 앞서서 프로이트에 이론 들을 간단히 알아봅시다 프로이트는 성욕을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로 생각하여 성욕의 위치에 따라 발달 단계를 5개로 나누었습니다. 또한 무의식이란 말을 새로 만들어 내어 이를 분석하는 그 유명한 정신분석학을 만들어 냈어요. 여기서 이제 살면서 한번쯤 들어봤을 방어기제나 자아가 나오죠. 그..
2019.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