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
-
언어의 심리학
말하기-브로카 언어이해-베로니카 말을할때->관련된 감각피질의 영역에 전해지고->베로니카(언어이해)에서 계획을 생성->브로카(말)에서 계획에 따라 말을 할 계획을 생성->운동피질 브로카 ->말을 하기 위한 운동 프로그렘을 생성->일차 운동 피질로 보냄 프랑스의 의사 언어는 이해하지만 제대로 말을 할 수 없는 환자를 통해 브로카 영역을 발견 베르니케 영역 ->말하기 언어인식 등의 계획을 생성 ->말하고자 할때 문법규칙에 따라 단계를 공식화함 ->브로카로 말하기 계획을 전달 케를 베르니케 ->독일의 의사 ->브로카영역이랑 신경섬유 다발로 연결 ->베로니카(컴파일-기계어로 변경) ->브로카(코딩-프로그렘 생성) 동물의 언어 동물들은 자연언어를 사용 침팬치 수화 160개단어 ㄱㄴ뇌에 말을 하는 신경회로가 존재하지..
2020.06.15 -
가짜뉴스에 선동당하지 않는 힘 <심리학>
안녕하세요 심플한 심블입니다. 오늘은 가짜뉴스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 하니다. 저희는 현제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하루에도 수많은 정보가 생산되고 이로 인해 예전보다 몇십배 몇백배나 되는 정보를 저희는 접합니다. 그렇기에 저희는 이러한 정보를 선동되지 않고 걸러내는 힘이 필요합니다. 이번 코로나 19사태를 보면서도 느꼈을것입니다. 이번 사태가 지속됨에 따라 수많은 가짜뉴스들이 생산되고 또한 수많은 혐오와 불신들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커뮤니티들을 돌아다니다 보면 이게 진짜일까 싶은 것도 버젓이 올라와있고 사람들을 그것들을 의심을 하면서도 아무렇지도 않게 믿고 있고 그것은 곧 사실로서 받아들여지게 됩니다. 굳이 이번 코로나 사태가 아니여도 우리는 이러한 현상들을 주변에서 아주 쉽게 찾아..
2020.03.09 -
특집 인공지능속 심리학<3부 인간의뇌 vs 인공지능>
안녕하세요 심플한 심블입니다. 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인공지능속 심리학 특집을 적는거 같네요. 그러면 2부에 이어서 3부 이야기 시작하겠습니다. 과연 인공지능이 인간을 이길수 있을까요? 인공지능이 인간을 뛰어넘는 점을 우리는 특이점이라고 부릅니다. 현제 인공지능은 체스나 바둑에서 보였듯 앞도적인 지능을 지니고 있습니다. 인간보다 빠른 계산 능력과 감정이 개입되지 않은 판단능력 덕분이죠. 바둑과 체스같은 게임은 심리전도 어느정도 필요한 게임입니다. 시간을 끌지않고 바로바로 둬서 상대를 당황시키는 등의 반응은 인간에게는 통하지 로봇에게는 통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길 가능성을 계산하여 최악의 수를 두지 않은 연산능력은 인간이 넘볼수 없는 영역입니다. 솔직히 말하면 인간은 컴퓨터의 연산능력을 이길수 없습니다...
2020.03.05 -
심리학과 자기소개서 2탄(2번 공통질문 작성)
안녕하세요 심플한 심블입니다. 오늘은 저번에 적었던 자기소개서 1번 공통문항에 이어서 2번 공통문항을 적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자기소개서 적는 방법 1번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릴께요! 2. 고등학교 재학기간 중 본인이 의미를 두고 노력했던 교내 활동(3개 이내)을 통해 배우고 느낀 점을 중심으로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단 교외 활동 중 학교장의 허락을 받고 참여한 활동은 포함됩니다.(띄어쓰기 포함 1,500자 이내) 2번 문항은 1500자로 공통 질문 중에서 가장 적을 수 있는 글자수가 많기 때문에 자기를 더 어필할수 있습니다. 이 문항을 적는 핵심은 얼마나 적공적합성을 보여줄수 있느냐 입니다. 이러한 전공적합성에 관한 활동들을 적을 떄는 생기부에 나와있는 활동을 적는게 훨신 유리합..
2020.03.05 -
심리학과 자기소개서 1탄 (1번 공통질문 작성)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복귀했습니다. 심플한 심블입니다. 오늘은 전국에 있는 모든 심리학과 지망생들을 위해 제가 심리학과 입시를 준비하면서 적었던 자기소개서를 바탕으로 자기소개서 적는법을 알려 드릴까 합니다. 총 4탄에 걸쳐서 대학별 질문까지 다루어 볼 생각입니다. 이번 1탄에서는 대학별 공통질문인 1번을 다뤄보겠습니다. 1.고등학교 재학기간 중 학업에 기울인 노력과 학습 경험을 통해, 배우고 느낀 점을 중심으로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띄어쓰기 포함, 1,000자 이내) 저는 글이 쉽게 안적어져서 단계별로 나눠서 글을 작성했는데요 지금부터 그 방법을 공개하겠습니다. 1. 적을 활동들을 나열 일단 자신이 지금까지 한 모든 활동을 모두 적어봅니다. 그러면 어느정도 비슷한 느낌으로 묶이는게 있을꺼에요 저 같은 ..
2020.02.18 -
임상/상담 심리학의 현실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심플한 심블입니다. 오늘할 이야기는 심리학과 진로를 꿈꾸는 분들이 듣기에는 많이 무거운 이야기인데 바로 심리학과의 꽃인 상담/임상 전문가의 현실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에 대해 제 생각을 잉야기 해볼까 합니다. 심리학과 입결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것도 그렇고 모교에 방문해서 선생님과 이야기해보면 정말 학생들의 심리학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것을 많이 체감합니다. 그런만큼 정말 대한민국에서의 심리학의 현실의 보면 정말 가슴이 아파집니다. 심리학과 학생들이 가장 하고 싶어하는 직업인 상담심리사부터 말씀드리자면 상담심리학은 굉장히 진입장벽이 낮아서 많은 사람들이 유입됩니다. 그런 만큼 정말 1년 교육받고 나온 사람도 상담심리 자격증을 딸수 있는게 현실입니다. 의학처럼 사..
2019.10.26